유학을 변명해 본다.
오늘날 한국의 전근대사회와 현대 한국 사회에도 존재하는 후진성을 지적하면서, 조선 시대에 지배적인 이데올로기인 유교에 공격적인 시각이 많다. 심지어 어떤 사람은 공자가 죽어야 나라가 산다고 강변하는 주장을 펴기도 하는데, 내가 유학자가 아니지만, 유학에 대한 몇 가지 변명을 해보려고 한다.
1. 유학은 고리타분하다? 유학은 시초적으로 복고주의적인 경향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공자가 말하는 극기복례란, 춘추전국 시대라는 난세를 만든 악한 이기심을 극복하고, 예 곧 주나라 시대의 사회 질서틀로 돌아가자는 말이기 때문이다. 이런 예에 대한 강조는 유학의 보수적인 색체를 형성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공자가 시작한 유학이 이렇게 복고주의만 강조했다면 춘추전국에서 살아남을 수 없었을 것이다. 공자의 유학이 가져온 혁신이 있었는데, 왕은 혈통으로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돈으로 되는 것도 아니고, 힘으로 되는 것이 아니며, 공자에 따르면 왕은 덕으로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진정한 왕이란 예전에는 혈통적인 것이었다면, 인의예지를 갖춘 덕 있는 사람이 왕이라는 것이다. 이것이 공자가 말하는 ‘군자(君子)’의 의미이다.
그래서 공자의 제자들은 잘 나가는 혈통의 금수저들만 있지 않았다. 공자가 사랑했던 제자들 중 안회 같은 사람은 집이 매우 가난하였고, 그로 말미암아 요절을 할 정도였다. 공자로 시작된 유학이 춘추전국 시대 그 생명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사회가 현실주의에 입각해서 만인의 만인에 대한 투쟁으로 돌아갈 때, 그들은 자신의 생명도 가차없이 내어주며 인간성을 회복하려고 하였던 점이다. 맹자는 그렇지 못한 정치 지도자들에 대해서 갈아치우는 것도 당연하다고 여겼고, 그 정신을 이은 유학자들은 배고파 굶고 분서갱유를 당하면서도 사회 윤리의 회복을 추구하였다. 춘추전국 시대 유학은 현실을 외면하는 그런 사람들이 아니었고, 오히려 그런 현실 가운데 실천하는 지식인들이었다. 만약에 그들이 비현실적인 사람들이고, 그들의 생각이 비현실적이었다면, 춘추전국 시대의 가혹한 환경을 뚫고 존재하기가 힘들었을 것이다.
2. 유학은 경제 발전에는 도움이 안 된다? 한나라 시대 유학자들을 연구하는, 박사과정 중인 내 친구 이대우에 따르면, 원래 한나라 이전에 유학자들은 중상주의자들이었다. 그것이 바뀐 것은 한나라 때 들어와서, 오초칠국의 난 당시 중상 위주의 제후국들을 중농 위주의 왕실이 꺾었기 때문이었다. 한나라 왕실이 밀어주었던, 유학자들이 중농주의로 돌아선 것은 이런 역사적 배경이 있는 셈이다.
중농주의를 가볍게 보는 사람들이 많은데, 전근대 사회에서는 농업이 곧 국력이었고, 근세 프랑스 중농학파는 중상주의가 잘못이라고 보는 당시 최신의 학설이었다. 오늘날 자본주의의 시대에 와서야 상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근대 이전의 트렌드는 농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고, 그 흐름은 애덤 스미스, 리카르도의 노동 가치설로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사농공상이라는 도그마를 무턱대고 강조하는 것은, 유학자들의 경제관을 지나치게 폐쇄적으로 보는 것이고, 당시 시대상에 따르면 일리가 있었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이다. 다만, 바뀐 시대에도 그것을 고수하고, 조금의 변화도 허용하지 않았던, 구한말 유학자들의 책임은 크다고는 할 수 있다. 물론 구한말 유학자들이 다 그런 것은 아니었고, 의병 운동에서 독립운동으로 전화될 때의 유학자들의 모습은 유학이 가진 유연함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 자본주의와 유학의 관계는? 자본주의에 대해서 막스 베버의 저서인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라는 명저가 기여한 것은 적지 않다. 즉, 상부구조/하부구조 관계에서 하부구조인 생산력과 생산 관계의 우위를 강조한 마르크스에 대해, 자본주의에 있어서, 상부구조인 문화의 역할이 작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지나치게 강조할 경우, 당시 역사적 맥락을 무시하고 특정 문화와 사상 체제가 우월하며 자본주의가 태어나지 못했던 다른 세계는 문화적으로 지체된 존재들로 보기 쉽다.
하지만, 좁은 의미의 자본주의라고 할 수 있는 산업자본주의 이전부터 유럽은 스페인–네덜란드를 거쳐가며, 자본주의의 순환 과정 속에 있었으며, 이것은 특정한 문화적 맥락에 얽힌 것은 아니었다. 특히 스페인–네덜란드–영국–미국의 자본주의 중심지의 이동 과정을 주시하다 보면, 그것은 특정 문화적 맥락과 사상 체계가 자본주의 패권국을 차지하는 근본적인 요소가 아님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화라는 것은 상수가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상호 작용을 통해 변모하는 모습을 보인다. 영국 자본주의의 발전을 보더라도, 영국 내의 문화적 맥락은 자본주의를 추동한 것도 있었고, 반대로 이를 가로막는 것도 존재하였다. 그 와중에서 보다 자본주의를 추구하는 흐름이 승리를 한 것이었을 뿐이다. 이런 모습은 자본주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았던, 동부 유럽에서도 발생한 일이었고, 프로이센의 경우 매우 자본주의와 거리가 먼 처지였지만, 나폴레옹 전쟁의 영향 아래 급속하게 자본주의의 길을 걷게 된다.
요컨데, 성리학이 주요 이데올로기였던 조선이라고, 자본주의로의 길, 근대화의 길이라는 것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다. 다만, 서세동점의 흐름을 이끌었던 자본주의 초강대국이었던 영국은 아시아 지역에 대해, 그것을 용납할 생각이 전혀 없었다. 중국은 아편 전쟁, 일본은 페리 제독을 통해 강제적 개항과 영국과 초슈–사츠마 전쟁을 겪었으며, 한국은 그 일본에 의한 강제적 개항을 겪었던 것이다. 또한 조선의 정치 지도자들 모두 제대로 된 방향으로 그 나라를 이끌지 않았다. 쇄국정책을 취하고 전근대적인 농업 위주의 경제체제를 가지고서는 그 한계점이 명확하였던 것이고, 조선의 왕과 관료들은 너무나 안일하였던 것이다. 실제 성리학적 가치를 버리고, 서구 열강과 같은 민족국가로서 대한제국의 길을 천명한 고종이 취한 정책은 대한제국의 사실상 헌법이나 다를 바 없던, “대한국 국제”에서 드러나듯이 절대주의 정책이었다. 이것은 서세동점의 시대상에서 아무런 힘도 없고 무익한 정책이었을 뿐이다. 그 관료들도 친일, 친러, 친미 등으로 우왕좌왕했고, 실질적으로 무엇을 해야 할 지 갈피를 잡지 못했다. 이것은 특정 사상의 한계성이라기 보다, 그 개개의 어리석음이자, 그 시대에 압도적인 서세동점의 흐름에 매몰된 것이기도 했다. 매우 힘들기는 했지만, 터키의 케말 파샤와 같이 빠른 전환을 추구했다면, 조선도 가능성이 없지는 않았을 것이다.
역사는 만약이라는 말을 할 수는 없다고 한다. 그러나 지난 구한말의 역사, 일제 식민지의 역사는, 시대적 상황을 깊이 이해하고 유연성을 갖지 못한, 정치 지도자들과 지식인들에 대한 아쉬움을 갖게 한다. 그것이 유학에 대한 오명이 되어버린 것도 많은 아쉬움을 갖게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양의 사상 체계에 명백히 한계를 긋고, 서구 문명이 가진 이데올로기 최고를 외치는 것도 올바른 이해가 될 수는 없다. 어디까지나 사상 체계라는 것은 역사적 산물이자, 여러 상호 관계에서 나오는 상수 아닌 변수일 뿐이다. 특정 이데올로기에 안주하고, 특정 문명의 사상 체계를 최고인양 높이는 이들은, 오히려 조선 말기의 유학자와 같은 우를 범하는 셈이다. 이것은 기층민들뿐만 아니라, 몇몇 엘리트 역사학자들에게서도 보이는 모습인데, 그것만큼 어리석은 일은 없을 것이다.
그것은 아마도 사람들을 교묘한 생각의 덫에 가두는 것이며, 그 나라의 미래에도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다. 역사적 가능성에 우리는 생각을 늘 열어둬야 한다. 이것이 오늘날 다시 급변하는 세계 체제 속에서 살아남는 길일 것이다.